NotebookLM은 Google DeepMind가 개발한 AI 기반 개인 리서치 도우미입니다. LM은 "Language Model"의 약자이며, 기존의 생성형 AI가 단순 대화에 집중되었다면, 노트북LM은 사용자가 업로드한 문서를 기반으로 분석, 요약, 질의응답, 정리까지 수행하는 AI 툴입니다.
단순한 문서 리딩 보조가 아니라, ‘사용자 맥락 중심의 AI 요약 엔진’이라는 점에서 기존 ChatGPT, Gemini 등과는 사용 목적이 분명히 다릅니다. 기획자, 작가, 연구자, 마케터, 강사, 학생 등 콘텐츠 기반 작업을 반복하는 직군에게 특히 유용합니다.
노트북LM의 주요 기능 요약
NotebookLM은 문서를 읽고 요약해주는 수준을 넘어서, AI와 함께 학습하고 정리하고 문서를 재구성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기능 항목 | 설명 |
문서 업로드 | PDF, TXT, 웹 링크 등 다양한 형식의 문서를 AI에 입력 가능 |
문서 기반 질문 | 문서 내용에 대해 질문 → AI가 내용 맥락 안에서 정확한 답변 생성 |
자동 요약 | 긴 문서를 핵심 주제별로 요약 정리 |
주제 탐색 | 문서 속 숨겨진 개념, 키워드, 용어 등을 AI가 분석 후 정리 |
노트북화 기능 | 문서를 단위별로 분류하여 AI와 공동 편집 가능 |
대화형 인터페이스 | 일반 챗봇처럼 대화하며 문서 학습 가능 |
NotebookLM 사용법 – 단계별 가이드
STEP 1: 접속 및 로그인
- 웹사이트 주소: https://notebooklm.google
- Google 계정으로 로그인
- 현재(2025년 기준) 한국어 문서도 지원되며, 영어 기반에서 정확도가 더 높음
STEP 2: 새 노트북 생성
프로젝트 단위로 ‘노트북’을 생성하여 문서를 업로드합니다.
- 좌측 메뉴 → [New notebook] 클릭
- 제목 설정 (예: ‘2025 AI 기술 보고서’)
- 생성된 노트북 안에 관련 자료를 계속 추가 가능
STEP 3: 문서 업로드
노트북 안에는 여러 개의 자료를 동시에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 지원 포맷: .pdf, .txt, .md, 웹 페이지 URL
- 드래그 앤 드롭 또는 ‘Upload files’ 버튼으로 업로드
- 웹 링크 붙여넣기만 해도 자동으로 본문 크롤링됨
※ 한 노트북에 여러 문서를 넣으면 통합 맥락에서 AI가 분석함
STEP 4: 자동 요약 및 문서 이해
문서를 업로드하면 NotebookLM이 자동으로 다음을 수행합니다:
- 문서 요약 (AI가 전체 내용 구조 정리)
- 주요 키워드 추출 (주제별로 분류됨)
- 관련 질문 제안 (사용자가 던질만한 질문 자동 생성)
이때 “Summarize this document” 또는 “Give me key insights” 등의 프롬프트도 직접 입력 가능
STEP 5: 문서 기반 대화 진행
문서를 분석한 후에는 일반 챗봇처럼 질문 가능합니다.
NotebookLM은 전체 문맥을 기반으로, 논리적이고 정확한 답변을 제공합니다.
예시 질문:
- “이 보고서에서 가장 중요한 결론은 무엇인가요?”
- “2장과 4장의 차이점을 요약해줘”
- “이 논문과 유사한 주제의 참고문헌 3개 추천해줘”
- “이 글의 핵심 내용을 블로그 스타일로 정리해줘”
STEP 6: 요약 복사 및 외부 공유
모든 생성 결과는 텍스트로 복사할 수 있으며, Notion, Google Docs, Word 등에 쉽게 붙여넣기 가능
향후 PDF 저장 및 팀 공유 기능도 확대 중
실전 활용 예시
NotebookLM은 실제로 아래와 같은 다양한 업무에 활용 가능합니다.
1. 전자책 요약 정리
작가가 과거에 쓴 전자책 원고를 업로드 → 핵심 주제 및 목차 재정리
→ 요약 내용을 기반으로 후속 시리즈 또는 블로그 글로 재활용
2. 기업 보고서 분석
경쟁사 백서, 투자자 보고서 등을 업로드
→ AI에게 “이 기업의 핵심 전략 3가지를 요약해줘” 요청
→ 내부 전략 회의 자료로 재구성 가능
3. 강의자료 자동 정리
교수자 또는 강사가 강의 슬라이드를 PDF로 업로드
→ 각 슬라이드의 핵심 문장을 뽑아 정리
→ 시험 요약 자료 또는 학생 대상 콘텐츠로 변환
4. 논문 분석 및 비교
동일 주제의 논문 2개를 업로드
→ “두 논문의 관점 차이를 비교해줘”
→ 연구 목적, 결론, 표/수치 해석 차이까지 논리적으로 요약
5. 뉴스/웹 기사 트렌드 정리
하루 동안의 주요 뉴스 URL 5개 업로드
→ “오늘 뉴스의 공통 주제와 대중 반응 요약해줘”
→ 뉴스레터, 블로그, 인스타 피드 콘텐츠로 활용 가능
노트북LM 문서 요약용 프롬프트 모음
NotebookLM은 단순히 문서를 요약하는 AI가 아니라, 프롬프트(요청 문장)에 따라 요약의 스타일과 깊이, 초점이 완전히 달라지는 지능형 도구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프롬프트만 잘 구성하면 논문 요약, 리포트 정리, 회의록 구조화까지 사람처럼 요약된 문장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사용 목적별로 구성한 실전 프롬프트 모음입니다.
1. 일반 요약용 프롬프트
목적: 긴 문서를 핵심만 추출해 한눈에 파악
- “이 문서를 5개의 핵심 포인트로 요약해줘.”
- “본문 전체를 300자 이내로 간결하게 요약해줘.”
- “전문용어를 줄이고, 비전문가가 이해하기 쉬운 요약문을 만들어줘.”
-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전체 문서를 요약해줘.”
2. 구조화된 요약 프롬프트
목적: 문서 내용을 항목별로 정리하고 싶은 경우
- “이 문서를 배경, 문제점, 해결책, 결론 4단계로 요약해줘.”
- “문서의 주요 소제목별로 요약 문장을 만들어줘.”
- “단락별 핵심 내용을 한 줄씩 정리해줘.”
- “논리 흐름 순서대로 표 형식으로 요약해줘.”
3. 비교 분석 중심 프롬프트
목적: 2개 이상 문서를 함께 요약하거나 비교
- “A 문서와 B 문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해줘.”
- “두 문서의 주장과 근거를 나눠서 요약해줘.”
- “A 문서가 주장하는 내용이 B 문서에서 반박되고 있는지 알려줘.”
- “두 문서 중 어느 쪽이 더 논리적으로 강력한가? 이유도 포함해줘.”
4. 콘텐츠 재활용용 프롬프트
목적: 문서 내용을 콘텐츠로 재가공하고 싶은 경우
- “이 문서를 블로그 글 형태로 재작성해줘. 서론, 본론, 결론 구조로.”
- “문서 내용을 카드뉴스용 5문장 콘텐츠로 만들어줘.”
- “이 문서를 기반으로 유튜브 쇼츠 영상 대본을 30초 분량으로 써줘.”
- “뉴스레터 구독자에게 발송할 수 있는 요약 메일 초안 만들어줘.”
5. 마케팅·보고서용 요약 프롬프트
목적: 업무 자료 요약 및 프레젠테이션 준비
- “이 문서를 임원 보고용 5줄 요약으로 정리해줘.”
- “마케팅 팀 내부 회의용 핵심 이슈만 뽑아서 정리해줘.”
- “PPT 발표 자료로 만들 수 있게 목차별로 요약 정리해줘.”
- “전략 수립에 참고할 수 있는 핵심 통찰만 뽑아서 알려줘.”
※ TIP: 프롬프트에 “누구를 위한 요약인지”, “어떤 형식으로 정리할 것인지”, “글자 수 또는 스타일 제한”을 함께 명시하면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ChatGPT와 함께 사용하는 리서치 자동화 루틴
NotebookLM은 문서 기반 요약에 특화되어 있지만, 정보 검색, 요약 결과 기반 콘텐츠 생성 등은 ChatGPT와 함께 사용할 때 시너지 효과가 매우 큽니다.
아래는 실제 업무에서 사용할 수 있는 NotebookLM + ChatGPT 리서치 자동화 루틴입니다.
STEP 1: 리서치 자료 수집 (ChatGPT)
ChatGPT에게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지시하여 리서치할 자료를 수집합니다.
예시 프롬프트:
- “최근 3년간 한국 스타트업 투자 트렌드에 대한 기사 5개 URL 찾아줘.”
- “AI 기반 마케팅 전략에 대한 대표적인 PDF 리포트 링크를 알려줘.”
- “2025년 헬스케어 산업 전망과 관련된 신뢰도 높은 웹페이지 추천해줘.”
※ GPT-4 기준으로 웹 브라우징 기능을 켜면 실시간 정보 기반 수집 가능
STEP 2: 수집된 문서 → NotebookLM에 업로드
- ChatGPT로 수집한 웹 링크 또는 PDF 파일을 NotebookLM의 노트북에 업로드
- 노트북 제목 예: “2025 산업 트렌드 분석”, “AI 마케팅 사례 모음”
- 관련 문서는 하나의 노트북 안에 통합 저장하여 문맥 기반 요약이 가능하게 구성
STEP 3: NotebookLM에서 문서 요약
- 앞서 소개한 프롬프트 모음을 활용해 문서 요약 진행
- 요약 결과는 텍스트 복사 후 메모앱 또는 Notion에 저장
- “중요 인사이트만 뽑아줘”, “요약된 내용에서 의문점 3개 제시해줘” 등 추가 프롬프트 활용
STEP 4: 요약 내용을 기반으로 ChatGPT에 추가 질의
NotebookLM의 요약 내용을 ChatGPT에게 넘겨줘 더 확장된 콘텐츠를 제작합니다.
예시 프롬프트:
- “NotebookLM에서 받은 요약 내용을 기반으로, 블로그 글 초안 만들어줘.”
- “이 요약문에서 더 탐색해야 할 주제 3가지를 알려줘.”
- “요약 내용을 카드뉴스용 콘텐츠로 재구성해줘.”
STEP 5: 자동화 루틴 템플릿화
- Notion 또는 Google Docs에 ‘리서치 자동화 템플릿’ 제작
-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주제(예: 투자 트렌드, 고객 리뷰, 마케팅 전략 등)는 템플릿으로 저장
- 매주 1회, GPT로 수집 → NotebookLM으로 요약 → ChatGPT로 콘텐츠화 루틴 정착
※ 자동화 루틴 요약표
단계 | 도구 | 설명 |
1단계 | ChatGPT | 웹 리서치, 링크 수집 |
2단계 | NotebookLM | 문서 업로드 및 요약 |
3단계 | ChatGPT | 요약 내용 콘텐츠화, 질문 확장 |
4단계 | Notion/Docs | 결과 정리, 콘텐츠 작성, 팀 공유 |
NotebookLM vs 다른 AI 도구 비교
항목 | NotebookLM | ChatGPT | Gemini | Claude |
문서 기반 질의응답 | 매우 강력 | 플러그인 필요 | 가능 | 가능 |
파일 업로드 지원 | PDF, 텍스트 등 직접 지원 | Plus 필요 | 지원 | 지원 |
맥락 이해력 | 탁월 (노트북 단위로 처리) | 우수 | 매우 우수 | 우수 |
자동 요약 기능 | 기본 제공 | 명령 필요 | 명령 필요 | 일부 지원 |
협업 및 노트화 | 강점 | 제한적 | 제한적 | 제한적 |
사용 난이도 | 쉬움 (시각 중심) | 보통 | 보통 | 보통 |
NotebookLM 장단점 정리
장점
- 문서 기반 AI 대화 기능 탁월
- 노트북 단위로 자료 정리 → 콘텐츠 기반 작업에 최적화
- 자동 요약·질문 생성 기능으로 리서치 효율성 상승
- 웹 링크만으로도 콘텐츠 분석 가능 (PDF 없이도 사용 가능)
- 학생, 작가, 직장인 모두에게 유용
단점
- 멀티언어 처리에서 영어 우선 (한국어 분석은 일부 미흡할 수 있음)
- 팀 협업 기능은 현재 제한적 (단일 사용자 중심)
- 긴 문서일 경우 일부 내용 요약 누락 가능
- 업로드 용량 제한 (단일 파일 10MB 이하 권장)
NotebookLM은 단순히 문서를 요약하는 AI 툴이 아니라, ‘문서를 읽고 이해하고 요약하며 콘텐츠로 재활용하는 통합형 리서치 AI’입니다. 특히 반복적인 문서 기반 작업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기존의 시간 소모적이던 과정(요약, 비교, 구조화 등)을 AI가 자동화함으로써 시간을 절약하고 창의력은 더 넓게 확장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문서를 빠르게 요약하고 싶다면, 긴 글 속 핵심만 뽑아 콘텐츠로 만들고 싶다면, 리서치를 반복하는 업무를 자동화하고 싶다면 노트북LM은 더 이상 ‘옵션’이 아니라, 당신의 생산성을 책임질 필수 도구가 될 것입니다.
'AI 무료 오픈소스 활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ok AI 사용법 : Grok3 vs Grok4 차이, 실전 활용까지 총정리 (0) | 2025.07.12 |
---|---|
스카이워크(Skywalk)AI 사용법 완벽 가이드 : 활용 예시 총정리 (0) | 2025.07.11 |
펠로(Felo) AI 사용법 및 특징 정리 : 활용 예시까지 한눈에! (0) | 2025.07.11 |
Super AI Agent 대표 5가지 비교 분석 (0) | 2025.07.10 |
마누스(Manus) AI 사용법 & 실전 활용 예시 완전 정복 (0) | 2025.07.10 |